
펌프에 의한 압력을 사용해 높은 곳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계, 테이블 리프트. 다른 말로는 렌탈로도 불리는데요, 정식 용어로는 고소작업대라고 합니다.
고소작업대의 종류로는 시저형 고소작업대, 굴절형 고소작업대, 차량탑재형의 고소작업대가 있고 현장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모델로는 시저형 형식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오늘은 테이블 리프트 이용시 필요 서류 및 안전수칙 등에 대해서 작성해봅니다.
테이블리프트 필요 서류

테이블 리프트를 조작하기 전 몇 가지 필요한 안전 서류 부착 후 운행하여야 한다.
1. 고소작업대 제원표
:품명, 중량, 크기, 사용 회사, 임대회사, 작업높이, 발판 높이, 자체중량, 적재중량, 제품 크기, 작업대 크기, 주행속도, 등판능력(%), 충전 전압, 최대 탑승인원 표시
2. 안전인증서
: 산업안전보건법 기준에 적합한지에 대한 여부를 검토하기 위한 KC인증마크가 포함된 안전 인증서
3. 점검표
: 주요 구조부, 각종 누유부, 비상정지 장치, 모멘트 감지장치, 인출 장치, 붐의 균열 및 연결부 등의 풀림 이상여부 등등을 점검할 수 있는 점검표 체크리스트 서류를 부착
4. 보험증
: 임대 전 렌탈회사에서 보험 서류를 부착하여 출고 및 탁송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임대회사 이메일로 서류를 요청하여 부착)
5. 운행원 실명제
: T/L 운행 교육을 이수한 작업자만이 운행할 수 있고, 운행원들의 실물을 인식할 수 있는 사진 리스트를 부착
테이블 리프트 사용 안전수칙

1. 테이블리프트 탑승 전 안전벨트 착용
2. 작업 구역에 협착 등의 위험이 있을 경우 과상승 방지봉 설치하여 작업
3. 유도원을 배치하여 운행 (현장마다 다르지만 유도원을 두는 곳도 있고 두지 않는 현장도 있다.)
4. 탑승 전 비상정지 스위치 버튼을 확인
5. 타이어의 공기압 정도 확인
6. 정비 및 수리, 청소 작업 중 반드시 Key 제거, 전원 off 후 실시 부득이하게 상판 하부 들어가야 할 경우 상판 지지대 하강되지 않도록 조치 후 시행
7. 적재중량 초과 적재 및 편하중 금지
테이블 리프트 위험요인

1. 기계설비 또는 라인 수리 및 정비 작업 중 불시 기동에 의한 협착 위험
2. 테이블리프트 실린더 수리 및 청소 등의 작업을 위해 리프트 핏 내부 출입 시 오조작에 의한 협착 위험
3. 테이블리프트 상판 꺼짐 및 상승, 불시 기동에 의해 전도 위험
4. 제품 취출작업 중 작업장 바닥면과 리프트 상판 사이 협착 위험
'건설안전 > 건설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현장 산업재해 산재보상 (3) | 2023.01.06 |
---|---|
건설현장 정기안전보건교육 (8) | 2022.12.07 |
산업안전보건법- 가설통로, 사다리식통로 (20) | 2022.09.14 |
양중기 와이어로프 안전기준 (2) | 2022.08.03 |
콘크리트 작업 안전사항 (0) | 2022.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