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열질환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증상 및 대처 차이

반응형

 


추위에 움츠렀던 날씨가 점점 기지개를 켜는 듯 한 따뜻해지고 있는 날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우리나라만큼 사계절이 뚜렷한 나라는 보기 드물었는데요.

그러나 요즘은 시기상 봄 날씨에 어울려야 하는 날씨가 시기를 가끔 건너뛰는 듯한 더위의 날씨를 맞이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날이 더워지면서 일상생활이나 일하는 현장 속에서 온열질환을 겪을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온열질환의 종류 및 증상”,  “온열질환의 대처”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온열질환의 종류


1. 열사병 (Heat stroke)

: 신체 내에 있는 체온유지를 담당하는 중추신경이 지속적, 자극적인 열의 자극에 의해, 열 자극을 조절하는 기능을 상실해버리는 질환입니다.
(평소 노인 및 기저질환자들이 오랜 시간과 기간 동안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발현율이 높음)

1-1 열사병 증상

  • 중추신경계 기능의 장애
  • 극심한 두통 증세
  • 오한
  • 빈맥
  • 저혈압 증세
  • 40도 이상의 고열증상과 이로 인한 발한 기전 기능 장애로 몸에서 땀이 나지 않아 건조하고 뜨거워지는 피부


1-2 열사병 대처

  • 서늘하고 시원한 곳으로 이동
  • 아이스팩 및 시원하거나 차가운 물체로 급격하게 체온을 낮춰줄 수 있는 겨드랑이 밑이나 목, 사타구니 등에 대주고체온을 낮춰줄 것 (급속냉각이 중요)
  • 환자의 옷 중 압박하는 옷은 헐렁하게 하고 미열증세를 환기
  • 열사병과 같은 온열질환은 다발성 장기손상 및 기능장애와 같은 합병증을 유발하여 신속한 조치 및 대처가 중요합니다


2) 열탈진 (Heat exhaustion) = 일사병, 열피로

: 열탈진은 뜨거운 열로 인해 체내 땀을 많이 흘려 수분 및 염분 등이 공급이 되지 않아 발생하는 온열질환입니다.
(열에 노출되어 신체 온도가 37~40도 사이 상승)


2-1. 열탈진 증상

  • 두통
  • 구역감
  • 무기력증 (피로감)
  • 갈증
  • 현기증
  • 창백하며 젖은 피부 (피부에 나타나는 증상 중 열사병과의 차이점)
  • 발한증세
  • 체온의 상승폭이 적음
반응형


2-2. 열탈진 대처

  • 시원한 곳으로 이동 후 휴식을 취할 것
  • 주기적으로 물을 마셔 수분섭취
  • 질환의 증상 발견 후 바로 차가운 물질 등을 갖다 대지 말 것

 

3) 열경련 (Heat cramp)

: 기온이 높아 날씨에 의해, 또는 신체활동 등으로 인해 신체 내 땀을 많이 흘려 수분과 염분이 부족하게 되어 근육에 경련이 일어나는 현상
(고온의 환경에서 고강도의 작업을 하거나 야외 운동 등의 신체활동을 하는 경우 열경련의 증세가 발현할 확률이 더욱 높아집니다.)

3-1. 열경련 증상

  • 근육의 경련증상
  • 발작성 경련
  • 구토
  • 발생 근육부위 저림

 

3-2. 열경련 대처

  • 경련이 발생한 부위의 가벼운 스트레칭 및 마사지
  • 물을 마셔주어 수분섭취
  • 시원하고 서늘한 곳에서 휴식을 취하기
  • 안정을 취하며 전해질 등의 영양소가 함유된 수액 및 음료를 섭취 (열경련 증상이 발현됐을 때 단순히 물만 마실 경우 저 나트륨증이 오므로, 전해질 수액도 섭취)

 


실제로 증상을 보게 되면 다 똑같은 온열질환 같아 보이고 체감을 하진 못 할 수도 있지만, 주요 증상만 알면 확실히 구분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온열질환 중에서도 위험할 수 있는 질환의 강도로


열사병 > 열탈진 > 열경련



순으로 구분되며, 보통 온열질환의 증세가 발현됐을 때, 보통 땀이 나지 않고 피부가 말라있고 건조한 경우 (열사병) 제일 위험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온열질환의 종류 및 강도, 증상 또한 같은 듯 다른
온열질환은 평상시 적절한 수분섭취와, 고온의 환경 속일 경우 적절한 휴식으로 예방하며 대처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